무역창업의 길을 나서면 몇갈래 길이 있을까?
내가 무역을 하겠다고 마음먹고 실제로 몸을 움직여 행동에 돌입한 시기는 2016년 10월 4일부터였다. 무역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던 내가 첫 발을 디딘곳은 무역협회의 무역아카데미에서 무역창업자들을 위해 기획되어진 두달짜리 '무역창업' 단기코스였다. 이름도 거창한 무역창업 1기. 사실 이 강좌는 처음 기획되어진 거라서 수강대표자들은 피실험체에 가까웠다는 풍문이...ㅎ 일주일에 두번 세시간씩 총 두달짜리 커리큘럼으로 70%는 B2B로 대변되는 무역전반에 관한 커리큘럼이었고 나머지 20%는 글로벌 리테일 즉, 소매무역의 대표적 주자인 아마존 강의였다. 나머지 10%정도가 현업에 종사하는 대표의 멘토링이라든가 사기예방법, 일대일 컨설팅이 포함되어 있는 강의였는데 충분치는 않아도 무역 전반에 관한 이해를 하는데 유용했던 강의였다. 하지만, 강의가 진행되면서 아쉬웠던 부분은 무역이란게 그 절차와 행정적인 부분에만 집중하면 말할 수 없이 따분한 탁상공론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무역이란건 그저 절차에 불과한 것이다. 무역인 1일강사로 나오셨던 화장품업계의 심재성대표란 분은 무역은 '까데기'다 란 표현을 하셨다. 무역자체는 그저 물류와 국가간 거래에 필수적인 행정적 절차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그 절차보단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으면서도 고객의 니즈에 정확히 부합할 만한 아이템을 잡는 일. 단가측면에선 적당한 가격에 팔아도 이윤이 남을만큼의 사입단가와 상대적으로 경쟁력 있는 퀄리티를 갖추어야 한다. 이렇게 힘들게 확보한 아이템을 사줄만한 바이어를 끊임없이 찾아나서는 것 . 이 전반적인 업무들은 사실 무역이라기 보단 유통에 더 가깝다. 심재성 대표는 그 무역이란게 유통의 한 부분일 뿐이라고 강의를 하였고 그 부분에 상당한 공감을 하였다. 무역업에 처음 발을 딛는 사람들이 가장 크게 고민하는게 무엇일까? 그건 바로 어떤 형태의 무역업을 진행하느냐일 것이다. 내...